현대시와 이상향
내일을 여는 지식 어문 85권. 한국 현대시에 나타나는 이상향의 유형을 검토하는 것은 시인이 지향하는 이상적 공간이 어떤 면모를 지니는지 그리고 그가 꿈꾸는 행복한 삶은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저자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상향 추구를 주제화하는 일제강점기와 해방기 시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을 살피고 공간적 양상과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다루었다.
표지속지책머리에차례Ⅰ. 서론1. 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2. 연구대상과 방법Ⅱ. 이상향의 사상적 토대와 유형이상향의 사상적 토대와 유형1. 은일사상과 자연적 세계2. 낙원사상과 마을공동체3. 민족주의사상과 민족공동체4. 사회주의사상과 무계급공동체Ⅲ. 은일공간과 자연친화의 이상향은일공간과 자연친화의 이상향1. 자연친화적 삶과 전원2. 탈속적 삶과 산수공간Ⅳ. 낙원과 마을공동체 지향의 이상향낙원과 마을공동체 지향의 이상향1. 동심의 세계와 원초적 낙원2. 유년지향과 마을공동체Ⅴ. 민족과 국가공동체 지향의 이상향민족과 국가공동체 지향의 이상향1. 민족의식과 민족공동체2. 국권회복과 국가공동체Ⅵ. 사회주의공동체와 무계급 이상향사회주의공동체와 무계급 이상향1. 변혁의지와 사회주의공동체2. 계급해방과 사회주의 유토피아Ⅶ. 결론결론참고문헌판권
김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