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20년간 기자로 활발한 활동을 하며, 현재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인 최한겸의 저서이다. 오랜 기간 저널리즘 글쓰기를 해 온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글쓰기, 특히 논리적/저널리즘 글쓰기란 무엇인지, 그리고 좋은 글과 부족한 글은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요소를 가지고 있는지 혹은 가지고 있지 못하는지 등에 대해 실제 일간지 등에 발표된 글과 학생들이 쓴 글 등의 풍성한 예를 들어 독자들이 알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논리적 글쓰기 더 나아가 저널리즘 글쓰기의 훈련이 필요한 많은 학생들뿐 아니라 글쓰기에 관심이 많은 일반 독자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목차
		■ 서문
제1부 글쓰기란 무엇인가
제1장 _ 세종대왕과 타무스왕의 문명논쟁 
제2장 _ 의제 설정이 반이다 
  1. 글쓰기란 무엇인가
  2. 의제설정의 중요성
  3. 기자란 무엇인가
제3장 _ 글쓰기의 기본조건 
  1. 설득하는 데 큰 목소리는 필요치 않다
  2. 주장의 요령
  3. 보편성의 문제
  4. 구조를 세우고 그림을 그리듯
  5. 글의 재료로 신문을 활용하라 
  6. 문장은 될 수 있는 대로 짧게 써야 한다 
  7. 새로운 관점과 신선한 시각
제4장 _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쓰는가
  1. “글쓰기를 하는 것은 매우 소중한 기회다”
  2. 화제를 잡아라 
  3. 긴밀하게 글을 읽는 법 
  4. 독자에서 작가로 가는 글쓰기 
  5. 글의 구조 
  6. 의제 설정 
  7. 저널리즘 글쓰기 시작 
  8. 개요 짜기 
  9. 반론 
  10. 글쓰기의 강을 건너려면 
제2부 글쓰기의 실제
제1장 _ 기사 
  1. 뉴스란 무엇인가 
  2. 뉴스의 판단기준 
  3. 기사의 종류
  4. 기사는 어떻게 이뤄지나 
  5. 글쓰기의 대원칙은 쉽고, 짧고, 정확하게 쓰는 것이다 
  6. 스트레이트 기사 쓰기 
제2장 _ 작문
  1. 작문이란 
  2. 독자들을 매혹시키는 작문 
  3. 저널리즘 글쓰기와 작문 
  4. 사안의 감춰진 측면을 발견하라 
  5. 작문 어떻게 잘 쓰나?
  6. 기출작문 작성 예시
제3장 _ 르포 
  1. 르포란 
  2. 르포 기사 취재 원칙 및 유의점
  3. 르포 기사 작성 원칙 및 유의점
제3부 글쓰기 사례 연구
제1장 _ 논술 고득점을 위한 글쓰기 요소-Case Study
  Case Study 1. 의제설정: 강구실용법
  Case Study 2. 개념의 활용: 휘분류취법
  Case Study 3. 논의의 틀짜기: 거일반삼법
  Case Study 4. 가치의 정립: 본의본령법
  Case Study 5. 상징만들기: 촉류방통법
  Case Study 6. 균형: 공심공안법
  Case Study 7. 분석 및 진단: 층체판석법
  Case Study 8. 대의: 독후엄정법
  Case Study 9. 주제의식: 실사구시법
  Case Study 10. 혼돈을 읽는 요령: 속중득운법
제2장 _ 실제 사례를 통해 점검하는 글쓰기 문제 사례 
  Case Study 1. 현실반영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Case Study 2. 상황인식: 정확성의 실패 
  Case Study 3. 성급한 결론
  Case Study 4. 사실왜곡 : 사실을 잘못 해석해 억지주장이 된 경우
  Case Study 5. 잘못 적용된 개념: ‘정의’와 ‘균형’의 혼돈 
  Case Study 6. 비교가 무리한 경우 
  Case Study 7. 시대에 뒤떨어진 비현실적인 경우 
  Case Study 8. 논리비약, 모순 
  Case Study 9. 잘못된 인용: 지나친 확대해석 사례 
  Case Study 10. 잘못된 전제, 단정적 결론의 오류 
제3장 _ 논술 학생 사례
■ 주제어로 보는 칼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