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문학의 미시담론』는 개인의 자유와 실존, 우정과 사랑의 문제, 교훈 등 계몽적인 이성을 넘어서는 것, 먼 곳에의 그리움에서 촉발된 낭만적인 충동 같은 것들에 대해서 저자는 전자보다 후자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쪽에 서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의 성격 역시 저쪽을 성찰하기보다는 이쪽에서 문학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고무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잘게 바라본 우리 문학사 
 수면에 떠 있는 향가(鄕歌)와, 그 잃어버린 바다 속 
 우리 고전문학과 모국어의 승리 
 성도 시절의 두보와 두시언해 
 그리움의 정한(情恨), 아름다운 바람의 흐름 
─ 경남 기녀(妓女)의 시와 노래 
 서포 김만중의 문학 ─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길 
 이름난 시집으로 다시 읽는 우리 근현대시의 사적(史的) 개관 
 소설가 김유정을 울린 판소리 명창 박록주 
 저 유리창 밖에 있는 가로등 그늘의 밤 
 제2부 미시담론을 위한 에세이 
 말 한마디의 힘 
 무엇이 인문주의이며, 왜 인문학인가 
 자비의 표상에 감도는 시정신과 미의식 
 시인 이바라기 노리코의 한글 사랑 
 경관과 시심(詩心) ─ 내 마음 속의 여산폭포 
 김윤식의 문학 비평과, 황홀경에로의 길 찾기 
 꿈속을 헤매는 자와 무의식의 심연 ─ 김소월의 「열락」에 대하여 
 낙화로부터 생명을 노래하는 것에 대하여 
 수필은 나에게 무엇인가 
 제3부 1977년 스무 살의 습작품 
 문학의 언어철학적 접근 
 인식적 측면에서의 이상론(李箱論) 서설 
─ 그 절망과 패배의 에스키스 
 바다에게 바치는 마음 
 습작시 : 상 실 
 부록 
 스무 살 문학청년의 푸른 영혼 이승하 
─ 송희복의 1977년 습작품 네 편을 대상으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