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전주한옥마을은 전부부성의 동문과 남문 바깥 지역, 그리고 전주천 북쪽에 펼쳐져 있는 마을이다. 이곳에는 보물 제308인 풍남문을 비롯, 조선 이성계의 초상화 등 많은 문화유산이 잠들어 있다. 전주시의 노력과 함께 전주 시민들의 올곧은 선비정신과 전통에 대한 자존감을 엿 볼 수 있다. 전주 한옥마을에 살아 온 고결한 선비정신, 역사의 인물들, 그리고 전통을 지키려는 많은 이들의 노력을 함께 느껴보자. 책에는 마을 모습과 문화유산을 담은 실제 사진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목차
해찰, 전주한옥마을에 들어서는 마음
전주한옥마을의 태동과 숨결
양지 바른 곳에 펼쳐진 창호지,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을 관통한 전주천
항일정신으로 터를 다진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의 환경과 변화
전주한옥마을의 공간 구조
한옥마을 보존과 주민들의 갈등
한옥마을 속의 다른 풍경
한옥마을의 변화와 미래
전주한옥마을의 문화유산
전주한옥마을의관문, ‘풍남문’
전주문명의시작, ‘경기전’
전주 이씨 시조 위패를 모신 ‘조경묘(肇慶廟)’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지킨 ‘전주사고(全州史庫)’
전주의존재이유, ‘이목대(梨木臺) 오목대(梧木臺)’
한국최초의순교지, ‘전동성당’
숫자로 풀어보는 ‘전주향교’
문향(文香) 그윽한터전, ‘양사재(養士齋)’
전주천최고의경승지, ‘남천교’
풍운을 잠재운 ‘전주동헌’
삼대를 잇는 효맥 ‘학인당(學忍堂)’
전주 최씨 종대(全州崔氏宗垈)
물안개 피어나는 곳, ‘한벽당’
전주한옥마을과 인물
전주한옥마을에서 가문을 연 ‘전주 이씨’
완산 아이 ‘견훤’
목조 ‘이안사’
오목대에서 부른 「대풍가」, ‘이성계’
장독에도쓰던이름, ‘이삼만’
비빔밥에서깨친대동사상, ‘전봉준’
전주한옥마을에 선비정신을 심은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그의 제자 ‘삼재’
강암은역사다, ‘강암 송성용’
가람 ‘이병기’
「혼불」의 작가 ‘최명희’
전주한옥마을과 전주음식
전주비빔밥 / 콩나물국밥 / 오모가리탕 / 한정식과 백반 / 전주 막걸리 / 전주 이강주(梨薑酒) / 전주만의 5대 음식
역사에 스민 문화, 문화에 잠긴 한옥
어진 박물관 / 전통술 박물관 / 완판본 문화관 / 부채 문화관 / 전주전통한지원 / 최명희 문
학관·고하 문예관 / 국립무형유산원 / 강암 서예관 / 교동 아트센터 / 목우헌(木遇軒) /동학혁명 기념관 / 전주전통문화연수원
전주한옥마을에 수여된 훈장들
한국관광의 별 / 국제 슬로시티 /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 / 《미슐랭 가이드》 최고 평점
부록 한상 가득, 멋과 맛
전주의 축제 / 전주 전통문화 체험 / 전주의 전통 숙박 시설 / 전주한옥마을 개요
해찰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