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직 고등학교 교사가 중고등학생들의 눈높이에서 설명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과학기술 및 그 응용사례로서의 고분의 이야기이다. 저자는 서양에서 근대문명이 우리나라에 전해지기 훨씬 전부터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겨레과학’이라 칭한다. 비록 이 겨레과학이 지금까지 체계적인 ‘과학’으로서 정리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 증거로서 여러 고고학 유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적 과학기술을 통해 해석해 보면 그 수준이 매우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책을 펴면서   5
추천사   7
역사과학 기행을 시작하면서   9
1장. 고분이란   13
■ 무덤에서 고분으로   15
■ 죽음을 애도하는 기념물, 무덤   15
■ 신석기시대의 무덤   16
■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무덤   16
■ 고분의 등장   20
■ 고분의 발굴과 연구   21
■ 왜 삼국시대 사람들은 고분을 만들었을까   25
■ 고분의 분류   27
■ 고분의 주인공에 따른 분류: 총, 능   27
■ 고분의 겉모습에 따른 분류: 분, 묘    28
■ 묘제로 분류하는 방법   28
■ 위에서 아래로 매장하는 구덩식 고분   29
■ 입구를 통해 매장하는 굴식고분                   30
■ 널, 덧널, 방을 구별하는 법   31
■ 고분의 구조   35
2장. 고분 축조기술에 담긴 과학 원리   39
■ 과학기술자의 활약    41
■ 고분 자리를 마련하기    43
■ 봉토 만들기    48
■ 구획성토   48
■ 교호성토   51
■ 흙둑 쌓기: 제상기법    53
■ 호석    57
■ 봉분의 각도는 안식각을 유지        58
■ 성토재    61
■ 토낭   61
■ 표토블록   62
■ 점토블록   63
■ 매장주체시설의 축조    66
■ 벽석 축조   67
■ 무덤방의 천장 만들기   70
■ 아치와 볼트 천장   74
3장. 삼국의 고분 탐구 여행   79
■ 고구려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81
■ 고구려 고분 속으로   81
■ 고구려 고분의 구분과 변화   82
■ 장군총과 태왕릉에 숨어 있는 돌쌓기의 과학    84
■ 굴식돌방무덤의 천장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   90
■ 신라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93
■ 신라 고분의 분포   93
■ 신라 고분의 분류   94
■ 무너지는 것이 기술력!    95
■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돌방무덤으로의 변화    97
■ 백제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101
■ 시기에 따른 백제 고분   101
■ 가야 고분에 담긴 과학 원리    113
■ 가야 고분 속으로   113
■ 가야 고분의 형태와 구조   125
■ 가야의 봉토축조기술과 과학원리   127
■ 천오백 년간 잠들었던 가야인을 되살리다   129
4장. 고분의 시대가 저물다   133
■ 거대한 고분이 사라지다   135
■ 고분 축조기술의 현대적 전승 : 흙부대 건축   137
■ 건축의 오래된 미래, 생태건축   140
참고문헌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