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디지털 포용
- 저자
- 송민호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
- 출판일
- 2024-12-31
- 등록일
- 2025-08-20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6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디지털 기술은 우리의 일상을 편리하고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도구로 자리 잡았지만, 그로 인한 사회적 격차는 더욱 복잡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책은 오늘날 디지털 격차의 현실을 분석하고, 모든 시민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접근성과 활용, 생산, 소통 격차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기술이 불러온 변화의 이면을 분석하고, 디지털 포용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진화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탐구하며, 정부와 기업, 시민이 함께 실현할 수 있는 포용적 정책과 기술적 해법을 살핀다. 이를 통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디지털 사회의 비전과 실천 방안을 제안하며, 개인과 사회 모두가 디지털 전환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저자소개
현재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창업지원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디지털포용협회 회장, 디지털포용뉴스 발행인을 맡고 있다. PR전문 컨설팅회사 ㈜컴스마일을 15년 운영했으며, 기상청 홍보팀장과 경기도청 전략기획팀장, 홍보기획팀장을 역임하며 디지털과 홍보현장에서 30년 이상 종사하였고 대학에서 미디어 분야를 강의하는 디지털 전문가이다. 한국 사회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누구나 디지털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 사회를 만드는 것이 소망이다.
목차
머리말
1. 디지털 심화 시대의 그림자
테크놀로지 문명 혜택의 이면
스마트미디어 사회의 부작용 혹은 역설
디지털 리스크
2. 디지털 격차 개념
3. 디지털 격차의 심각성
국내 디지털 격차 수준
디지털 소외계층의 격차 수준
스마트 모바일 환경과 디지털 정보격차
4. 디지털 격차 2.0
디지털 격차의 확장, 디지털 격차2 .0
디지털 미디어콘텐츠와 디지털 격차
5. 디지털 포용 콘셉트
포용국가 콘셉트
디지털 포용 개념
디지털 포용 사회로의 진전
6.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
디지털 포용 정책의 당위성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을 위한 노력
7.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진화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함양
8. 정부, 공공분야의 역할 및 과제(비전)
디지털 격차 2.0 해소를 위한 포용 정책
데이터 및 인공지능 시대 포용
디지털 권리 보장, 디지털 역량 증진을 위한 각국의 노력
9. 기업, 시장의 역할 및 과제(미션)
포용 기술 개발 및 서비스 확산
10. 디지털 시민의 역할 및 과제(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