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아날로그 시대를 지나 디지털 시대로 접어든 현재 문학의 전망 및 생산, 표현, 수용, 문화 등을 얘기한다. 또한 디지털 시대 문학의 전망과 과제를 짚어본다.
목차
머리말
디지털 환경과 문학 현상의 거시 전망│박인기
1. 디지털 기술과 문학이 접변하는 범주들
2. 디지털 시대 문학의 문제적 변이들
디지털 시대, 영상 서사물의 미적 구조와 수사적 읽기│최인자
1.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학
2. 디지털 문화 환경과 영상 서사물의 수사적 읽기
3. 영상 서사 담론의 수사적 읽기
4. 디지털 영상의 미래
디지털 시대 문학의 생산│최병우
1.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디지털 시대 문학
2. 디지털 시대 문학의 현황
3. 디지털 시대 문학의 미래
4. 디지털 시대 문학의 생산 주체의 변화
디지털 시대 문학의 표현│박윤우
1. 디지털 문화 시대의 문학 환경
2. 디지털 문학의 표현 매체와 특징
3. 디지털 문학의 새로운 표현 양식
4. 디지털 문학의 상상력과 시적 인식
5. 디지털 텍스트의 새로운 미래
디지털 시대 문학의 수용│김상욱
1. 디지털 시대의 교육적 대응
2. 디지털 시대, 소통의 문제점
3. 전통적인 문학텍스트의 수용
4. 디지털화된 문학텍스트의 수용
5. 문화에서 다시 문학으로
디지털 시대의 문학과 문화│임경순
1. 디지털 문화의 시대
2. 디지털 시대의 문학 문화 현상
3. 디지털 시대의 문학 행위와 문화적 의미
4. 디지털 문화에 대한 성찰과 가능성
디지털 시대 문학과 심리│김유중
1. 들어가는 말
2. 논의의 방향과 초점
3. 몰입의 내적 원리와 조건들
4.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심리적 변화
디지털 시대, 문학의 변용│김혜영
1. 문자, 인쇄, 디지털 매체
2. 디지털 시대의 문학
3. 문학텍스트의 변용 양상과 구조
4. 문학 변용의 의의
5. 디지털 시대, 문학의 미래
디지털 시대의 문학과 교육│김성진
1. 문학의 위기와 로맨스 서사물의 대중화
2. 장르 문학으로서의 인터넷 로맨스 서사
3. 로맨스 장르에 대한 전통적 문학교육의 관점 재론
4. 독서의 맥락에 대한 성찰로서의 문학교육
5. 계몽적 비판을 넘어서
디지털 시대 문학의 전망과 과제│우한용
1. 문학은 어디로 가는가
2. 디지털 시대의 의미
3. 디지털로 수행되는 정보화 시대, 문학의 변모
4. 디지털 시대, 스스로 지친 문학
5.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대화 맥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