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도서
인류사를 바꾼 위대한 과학

인류사를 바꾼 위대한 과학

이것은 과학이자 세상을 꿰뚫는 책이다! 이것은 과학이자 세상을 꿰뚫는 책이다! 인류가 이해하고 있는 모든 과학을 탄생시킨 심오하고 본질적인 7가지 발견을 어떠한 수식이나 방정

저자
아널드 R 브로디
출판사
글담
출판일
2018-04-02
비 그친 오후의 헌책방

비 그친 오후의 헌책방

비 그친 오후의 헌책방 - 야기사와 사토시 지음, 서혜영 옮김소설은 평화롭던 날을 보내던 다카코가 1년 동안 사내연애를 해온 남자친구에게서 다른 여자와 결혼하게 됐다는 갑작스러운 이별 통보를 받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이별의 충격으로 ...

저자
야기사와 사토시 지음, 서혜영 옮김
출판사
다산책방
출판일
2024-08-04
이야기의 탄생

이야기의 탄생

“내게도 아주 유익한 책이었다. 눈 밝은 독자들에게도 많이 읽히는 책이기를 바란다.” - 정재승 이야기는 어떻게 우리의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행동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가?

저자
윌 스토
출판사
흐름출판
출판일
2020-05-15
전체 25057건 ( 815 / 2506 )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대학교재]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김일권,최석영,정숭교 공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한말 일제시기 조선의 민속과 문화 연구에 일정 부분 이바지를 했던 주요 연구자들의...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대한민국의 건국

[대학교재] 대한민국의 건국

권희영,남광규,정영순,양영조,우평균,최춘흠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지만 통일독립국가를 이루는 데는 실패하였다. 이미 한반도는 무수한 국내외 ...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대학교재]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이상훈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오늘,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하고 있다. 민족 개념이 혈통적·종족적 단일성을 근거로 하는...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지리산 역사문화 사전

[대학교재] 지리산 역사문화 사전

정치영,최원석,김아네스,강정화,박찬모,이강한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지리산은 한반도의 중심축인 백두대간 가운데 하나이다. 한반도 남단의 지리산은 지역을 가르는 높고 험한 장벽이 아니라,...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대학교재]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김병조 등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1990년대 들어 장단기 이주 노동, 국제 결혼을 통한 외국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상당수 한국사회로 유입되면서 큰 변...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한국의 불교 성지

[대학교재] 한국의 불교 성지

고병철,강돈구,허남진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의 57개 대표 불교 성지와 그 안에 담긴 신앙적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 불교 성지를 지역별 균형을...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현대 중국의 한국종교

[대학교재] 현대 중국의 한국종교

강돈구,윤용복 등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현대 중국의 한국 종교』는 중국에서 한인들이 많이 모여 있는 다섯 개 지역인 동북삼성(흑룡강성, 길림성, 요령성),...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밭 가는 영조와 누에치는 정순왕후

[대학교재] 밭 가는 영조와 누에치는 정순왕후

한형주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현대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히 줄었지만, 여전히 농업은 우리의 먹거리를...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영조 대의 무신란, 탕평의 길을 열다

[대학교재] 영조 대의 무신란, 탕평의 길을 열다

장필기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18세기 조선은 탕평을 표방한 정국 운영이 행해지던 시기이다. 그러나 당시 사회는 정치적·사회적 모순도 계속 발생하여...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영조 대의 의궤와 미술문화

[대학교재] 영조 대의 의궤와 미술문화

이성미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조선은 숙종 대부터 왜란과 호란 이후의 혼란을 회복하며 차츰 정치? 사회적 안정을 되찾았다. 이에 따라 영조 대에는 ...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