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재]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김일권,최석영,정숭교 공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한말 일제시기 조선의 민속과 문화 연구에 일정 부분 이바지를 했던 주요 연구자들의...
[대학교재] 대한민국의 건국
권희영,남광규,정영순,양영조,우평균,최춘흠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지만 통일독립국가를 이루는 데는 실패하였다. 이미 한반도는 무수한 국내외 ...
[대학교재]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이상훈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오늘,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하고 있다. 민족 개념이 혈통적·종족적 단일성을 근거로 하는...
[대학교재] 지리산 역사문화 사전
정치영,최원석,김아네스,강정화,박찬모,이강한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지리산은 한반도의 중심축인 백두대간 가운데 하나이다. 한반도 남단의 지리산은 지역을 가르는 높고 험한 장벽이 아니라,...
[대학교재] 한국의 다문화 상황과 사회통합
김병조 등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1990년대 들어 장단기 이주 노동, 국제 결혼을 통한 외국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상당수 한국사회로 유입되면서 큰 변...
[대학교재] 한국의 불교 성지
고병철,강돈구,허남진 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한국의 57개 대표 불교 성지와 그 안에 담긴 신앙적 의미를 소개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 불교 성지를 지역별 균형을...
[대학교재] 현대 중국의 한국종교
강돈구,윤용복 등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현대 중국의 한국 종교』는 중국에서 한인들이 많이 모여 있는 다섯 개 지역인 동북삼성(흑룡강성, 길림성, 요령성),...
[대학교재] 밭 가는 영조와 누에치는 정순왕후
한형주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현대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히 줄었지만, 여전히 농업은 우리의 먹거리를...
[대학교재] 영조 대의 무신란, 탕평의 길을 열다
장필기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18세기 조선은 탕평을 표방한 정국 운영이 행해지던 시기이다. 그러나 당시 사회는 정치적·사회적 모순도 계속 발생하여...
[대학교재] 영조 대의 의궤와 미술문화
이성미 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01-18 예스이십사
조선은 숙종 대부터 왜란과 호란 이후의 혼란을 회복하며 차츰 정치? 사회적 안정을 되찾았다. 이에 따라 영조 대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