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63가지 심리실험: 뇌과학편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63가지 심리실험: 뇌과학편

저자
이케가야 유지
출판사
사람과나무사이
출판일
2018-12-25
등록일
2019-09-18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37MB
공급사
교보문고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저자 서문_ 타인의 ‘머릿속’을 여행하고 싶은 사람에게 ‘지도’와 ‘내비게이션’이 되어줄 책



제1장_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나



고양이가 ‘문 여는 법’은 배워도 ‘문 닫는 법’은 배우지 못하는 이유

하버드대 웜슬리 교수의 ‘입체미로 통과 실험’



사랑에 빠지면 왜 동공이 커질까?

시카고대 헤스 교수와 하버드대 카너먼 교수의 ‘동공 지름 측정 실험’



제비뽑기 돈 벌기 게임에서 인간이 쥐에게 백전백패한다고?

윌리엄 앤드 메리대 파크리사누 교수의 ‘제비뽑기 게임 실험’



‘미끼 상품’을 잘 이용하면 짠돌이도 지갑을 열게 할 수 있다

매사추세츠 공대 댄 에리얼리 교수의 ‘미끼 효과 실험’



나쁜 소문은 좋은 소문보다 2배 더 빨리 퍼져 나간다는데?

쾰른대 호프만 교수의 ‘도덕적?비도덕적 행동 평가 실험’



잼 진열 종수를 대폭 줄이자 판매량이 7배나 치솟은 이유

컬럼비아대 아이엔가 교수의 ‘잼 판매 실험’



거짓말쟁이가 오히려 더 정직하다고?

암스테르담대 브루노 교수의 ‘주사위 굴리기 게임 실험’



중매결혼한 커플과 연애결혼한 커플 중 어느 쪽 이혼율이 더 높을까?

플로리다주립대 맥널티 교수의 ‘결혼 만족도 측정 실험’



너무 참신한 아이디어는 이해받지 못한다?

노스웨스턴대 존스 교수의 ‘발견의 혁신성과 영향력 상관관계 측정 실험’



참으면 참을수록 인내력이 떨어진다는데?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 바우마이스터 교수의 ‘악력기 누르기 실험’



뇌가 성공 체험보다 실패 체험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는 까닭

존스 홉킨스대 허츠펠드 교수의 ‘방향 감각 향상 실험’



뇌는 왜 보이지 않는 상대를 얕잡아볼까?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의 ‘안티키테라 기계’ 사례



유머감각이 낮은 사람일수록 자신의 유머감각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

코넬대 더닝 교수와 대학원생 크루거의 ‘유머 이해력 실험’



억지로라도 웃으면 나를 비웃는 사람은 속수무책이 된다

취리히대 플랫 교수의 ‘비웃음 공포증’ 연구 사례



집중력을 2배 높여주는 ‘가짜 전기헬멧’의 비밀

브뤼셀 자유대 마갈레스 교수의 ‘스트룹 효과 실험’





제2장_ 뇌를 알면 기억력이 쑥쑥



‘오!’ 하고 감탄사를 발하며 습득한 지식이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다는데?

캘리포니아대 그루버 교수의 ‘잡학 퀴즈 정답 맞히기 실험’



‘멍 때리기’가 기억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헤리엇-와트대 듀어 교수의 ‘기억력 테스트 실험’



잠자며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일까?

프라이부르크대 라스크 교수의 ‘쥐의 미로 통과 실험’



우리 뇌 어딘가에 뱃속 아기 시절의 기억이 남아 있다는데?

헬싱키대 파타넨 교수의 ‘태아 시절 기억 확인 실험’



커피를 마시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존스 홉킨스대 마이클 야사 교수의 ‘행동 태깅 실험’



‘걷기’가 기억력을 획기적으로 향상해주는 이유

일리노이대 클레이먼 교수의 ‘산책-기억력 상호 관계 실험’



인간은 자신의 과거를 자기 입맛에 맞게 각색하기 좋아하는 존재다?

워털루대 콘웨이 교수의 ‘학습 기능 프로그램 수강 신청 현황 조사’



몸속에 수분이 부족하면 기억력이 감퇴한다는 게 사실일까?

코네티컷대 암스트롱 교수의 ‘수분-기억력 관계 측정 실험’





제3장_ 뇌와 함께 사람과 함께



함께 공부하면 혼자 할 때보다 더 오래, 더 또렷이 기억에 남는다고?

예일대 부스비 교수의 ‘대화 없이 같은 경험을 공유하는 효과 연구’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은 보육원 아기들은 왜 두 살도 되기 전 91명 중 35명이나 죽었을까?

정신과 전문의 르네 스피츠의 ‘보육원 전쟁고아 사망사건 원인 조사’



인간은 1조 종류의 냄새를 식별할 수 있다는데?

록펠러대 켈러 교수의 ‘인공향 합성 감지 실험’



인간 뇌가 문자와 숫자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이유는?

난독증을 유발하는 유전자로 의심받는 ‘DYX1C1’의 실체



뇌의 활동을 자유자재로 통제할 수 있다고?

로리엇 뇌 연구소 보두르카 박사의 ‘편도체 활동 조절 실험’



남녀 성별의 경계를 허무는 21세기 과학기술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교토대 다치바나 교수의 ‘수컷 쥐를 암컷으로 바꾸기 실험’



‘유전자 유사도’를 통해 4천 년간 100여 개 역사적 사실을 밝혀낸다?

옥스퍼드대 마이어스 교수의 ‘인류 교배사 유전자 지도장’



꿀벌도 ‘동일성’의 개념을 이해한다는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파고 박사의 ‘꿀벌 색깔 인지 능력 측정 실험’



고대 인류가 풍요로움을 포기하고 사냥 대신 농경을 선택한 이유

인도네시아 대규모 화산 폭발로 인한 기후 변화설



‘의욕’을 끌어내기 위해 ‘의욕’을 활용한다?

스탠퍼드대 넛슨 교수의 ‘최고 의욕 끌어내기 실험’



뇌는 존재하지도 않는 ‘노란색’을 어떻게 볼까?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