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월 나혜석이 남긴 800여 점의 미술 작품들 가운데, 한국 동란을 지난 후, 보존된 작품들은 1/10에 불과했으며, 그녀가 썼다고 알려진 장편 소설의 원고도 전쟁 중에 소실되었다고 한다. 그런 가운데도 나혜석 선생의 그림들이 사진으로 모아져 본 화집으로 발행되었다.
저자소개
저자 : 나혜석
화가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로서, 서양 유화를 한국에서 대중화시켰고, 민중적인 판화를 제작해서 보급한, 한국 미술계의 거목이었다. 또한 그녀는 서양화 전공자였으면서도, 한국 최초의 여류 단편 소설가가 되었을 만큼 지력과 필력을 겸비한, 당대의 지성이었다. 전통 동양 산수화에 머물던 국내에 서양 유화를 도입했고, 프랑스 파리로 유학해서 인상파와 야수파 등의 서양 현대 미술을 본격적으로 국내에 소개했다. 미술 교육에도 심혈을 기울여, 여학교와 전문학교에서 미술을 강의했으며, 직접 국내에 여자미술학사를 설립해 운영했다. 『신여자』, 『폐허』, 『백조』, 고려미술회의 창립 회원이거나 동인이었다.
목차
발간사 5
「섣달대목」(1919년 1월 21일자) 17
「다듬이질」(섣달대목) 18
「섣달대목」(1919년 1월 31일자) 19
「다리미질」(섣달대목) 20
「제사」(초하룻날) 21
「초하룻날」(1919년 2월 3일자) 22
「세배」(초하룻날) 23
「초하룻날」(1919년 2월 6일자) 24
「초하룻날」(1919년 2월 7일자) 25
「早朝」 26
「저것이 무엇인고」 27
「김일엽 선생의 가정 생활」 28
「농촌 風景」(1) 29
「농촌 풍경」(2) 30
「인형의 家」(1921년 3월 4일자) 31
「인형의 家」(1921년 3월 5일자) 32
「개척자」 33
「농가」 34
「봄이 오다」(春이 오다) 35
「봉황산」 36
「봉황성의 남문」 37
「滿洲봉천 풍경」(1) 38
「만주 봉천 풍경」(2) 39
「가을의 뜰」 40
「견우화」 41
「初夏의 오전」 42
「娘娘廟」 43
「중국촌」(支那町) 44
「창가에서」 45
「天后宮」 46
「김우영 초상」 47
「나부」(1927년경) 48
「봄의 오후」 49
「舞姬」(1)(1927~1928년경) 50
「깡깡 무희」(「舞姬」(2)) 51
「파리 風景」(1) 52
「파리 풍경」(2) 53
「불란서 마을 풍경」 54
「스페인 해수욕장」(1) 55
「스페인 해수욕장」(2) 56
「스페인 국경」(1) 57
「스페인 국경」(2) 58
「자화상」(1) 59
「자화상」(2) 60
「수원 화성문」 61
「녹동 풍경」 62
「어린이들」 63
「학서암 염노장」 64
「해인사 홍류동」 65
「畵家村」 66
「庭園」 67
「芍藥」 68
「裸婦」(1931년) 69
「金剛山萬相亭」 70
「소녀」 71
「해금강에서 스케치한 총석정 어촌 풍경」 72
「이상을 지시하는 계명자」 73
「善竹橋」(1) 74
「선죽교」(2) 75
「水原西湖」(1) 76
「수원 서호」(2) 77
「화영전 작약」(1) 78
「화영전 작약」(2) 79
「별장」(1) 80
「별장」(2) 81
「해인사 석탑」 82
「수원의 호숫가」 83
「풍경」(1) 84
「풍경」(2) 85
「풍경」(3) 86
「강변」 87
「제목 미상」 88
「다솔사」 89
「마차」 90
「불란서 교외 풍경」 91
「이화원」 92
「인천 풍경」(1) 93
「仁川風景」(2) 94
「유럽 풍경」 95
「이국 풍경」 96
「스페인 항구」 97
「경성역, 전동식당, 계명구락부 풍경 스케치」 98
참고 문헌 99
나혜석 약력 101
나혜석 연보 107
나혜석 참고 서지 117
나혜석 그림 목록 123
나혜석 저술 목록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