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계룡산 분청사기
- 저자
- 국립중앙박물관
- 출판사
- 열린박물관
- 출판일
- 2007-10-24
- 등록일
- 2008-11-1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6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분청사기에 대한 종합적인 안내서
일반인들을 위한 분청사기 입문 교양서 <계룡산 분청사기>. 2007년 9월 18일부터 2008년 2월 17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테마전 계룡산 분청사기의 전시 도록이다. 분청사기는 고려 말에 유행했던 상감청자에 뿌리를 둔 조선 초기의 도자기로서, 토속적인 아름다움과 해학성이 엿보이는 대중적인 도자기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분청사기의 보고라 할 수 있는 계룡산 학봉리 가마에서 발굴된 유물을 통해 분청사기 역사와 유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 1927년의 조선총독부 1차 발굴과 1992년의 2차 발굴에서 조사된 발굴품을 최초로 공개하는 자료가 담겨 있다. 특히 학봉리 가마의 생산품을 가마별로 소개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철화분청사기 명품과 발굴품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또한 강렬한 추상성과 자유로움, 해학과 순박한 아름다움이 배어 있는 백토의 미학을 지닌 분청사기의 자태를 만끽할 수 있도록 풍부한 사진자료를 함께 수록하였다. 분청사기의 종류, 다양한 무늬와 특징에 대한 소개, 각종 유물의 기법 소개 및 쓰여진 글씨, 철화분청을 비롯한 대표적인 작품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저자소개
김 영 원
서울대 인문대 고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도자사로 석사ㆍ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으로 있고, 1976년 이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ㆍ학예연구관, 국립공주박물관 관장, 국립제주박물관 관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에 『조선백자』, 『조선전기 도자의 연구』, 『조선시대 도자기』, 역서에 『中國陶磁史』등이 있다.
권 소 현
부산대 인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조선 15세기 상감백자의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1장 계룡산과 분청사기
- 분청사기란 어떤 도자기인가?
- 계룡산 기슭의 도자기 가마터
2장 계룡산 학봉리 가마와 발굴
- 조선도자사에서 계룡산 학봉리 가마
- 계룡산 학봉리 가마의 발굴 역사
- 학봉리 가마의 도자기와 제작 시기
- 계룡산 철화분청의 탄생과 소멸
3장 학봉리 가마에서 만든 도자기
- 분청사기 각종
- 철화분청사기 무늬
- 분청사기 이외의 도자기
- 학봉리 도자기에 나오는 글자와 글
4장 철화분청 명품
부록
영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