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웹툰의 가장 큰 경쟁력은 역동적인 개방성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향유를 활성화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를 구축해 가는 개방적인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웹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역동적인 개방성과 향유라는 공통분모를 고려할 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웹툰의 또 다른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의 정체와 구현 방안을 고민하고, 핵심 동력인 향유의 양상과 상관해 그 구체를 탐구해 볼 것이다. 웹툰의 미덕을 살리며 미래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최적의 방안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박기수
저자 : 박기수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소장이다. 한양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2001)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평론을 하다가 <신세기 에반게리온>과의 운명적인 조우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콘텐츠진흥원 기획창작 아카데미 자문위원, KBS 미디어비평 자문위원을 지냈고 UC어바인 방문교수(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isiting Scholar)를 다녀왔다. 연구의 관심 분야는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리터러시, 향유, 팬덤, HCI 등으로 현장성 강한 실천적 학문의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2015), 『국경을 넘어서는 애니메이션(アニメは 越境する)』(공저, 2010), 『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2004) 등 20여 권의 저서와 “웹툰의 트랜스 미디어스토리텔링 전략 연구”(2016)를 비롯한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목차
0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체
0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03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0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
05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향유
0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의 구현 과정
07 원천 콘텐츠로서 웹툰의 매력
08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
09 <미생>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10 웹툰의 미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