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단백질 혁명
- 저자
- 김성훈 저
- 출판사
- 웅진지식하우스
- 출판일
- 2025-07-28
- 등록일
- 2025-10-15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77MB
- 공급사
- 예스이십사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단백질은 이제 모두의 필수 상식이다!”알파폴드, 위고비, 치매 치료, 항체 의약품…단백질은 지금 어떤 미래를 열어가고 있는가?호암의학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김성훈 교수 신작엑소쌤(이선호), 국내 최고 의약대 교수 추천 “단백질 하면 머릿속에 무엇이 떠오르는가?” 『단백질 혁명』은 이 질문으로 시작한다. 대부분 고기, 근육, 단백질 음료를 첫 번째로 떠올릴 것이다. 단백질에 관한 우리의 지식은, 이처럼 몸에 필요한 영양소라는 사실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단백질은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가장 중요한 생체 분자다. 뼈와 피부, 근육은 물론 몸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 반응을 도와주는 효소, 면역 시스템에서 질병과 싸우는 항체, 몸을 조절하는 호르몬 등이 모두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 현재 과학계는 인간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 열쇠로 단백질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25년 사이 노벨 화학상 수상의 약 40퍼센트가 단백질 관련 연구였으며, 2024년 노벨 화학상 역시 ‘단백질 구조 분석 인공지능’ 분야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뿐만 아니라 단백질은 ‘기적의 다이어트약’이라 불리는 위고비와 오젬픽을 비롯해 질병 치료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단백질이라는 작은 분자가 세상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바이오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김성훈 교수가 『단백질 혁명』을 집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는 암, 면역, 대사질환 등에 관여하는 각종 신기능 단백질을 발굴했고, 세계적 과학 학술지 [셀] [사이언스] 등에 27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단백질 연구에 평생을 쏟은 그는 이 책에서 단백질이 세상을 어떻게 바꿔나가고 있는지, 얼마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지 탐구한다. 단백질에 대한 이해는 이제 과학자들만의 몫이 아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함께 탐구해야 할 지식이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공유해야 할 교양이다. 『단백질 혁명』을 통해 독자들은 단백질의 놀라운 비밀은 물론 바이오 시대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인간 생로병사의 비밀은 무엇일까, 불로불사의 약은 가능할까?’ 어린 시절부터 품었던 궁금증을 좇아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약학을, 카이스트에서 생명공학을, 브라운대학교에서 분자세포생물학을, MIT에서 생화학을 전공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및 의과대학 연구특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암, 면역, 대사질환 등에 관여하는 각종 신기능 단백질을 발굴했고, 세계적 과학 학술지 [셀] [사이언스] 등에 27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수백 건의 특허 출원 및 다수의 기술 이전을 통해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의 산업화에도 크게 기여했다. 최근에는 바이오 벤처기업 자이메디를 창업해 신약 개발에 직접 나서고 있다.
한국과학재단(현 한국연구재단) 의약단백질네트워크연구단장,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통합생명공학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장, 연세대학교 지능형의약바이오연구원장으로 차세대 의약학을 위해 생명과학, 인공지능, 첨단 공학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기법을 탐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학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대한민국학술원상, 호암 의학상 등 다수의 상을 받았으며, 지은 책으로 카오스재단 권장 도서로 선정된 『생명과 약의 연결고리』를 비롯해 『물질에서 생명으로』(공저) 등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는 글: 과학의 눈으로 단백질을 보다1장 생명의 두 번째 암호, 단백질유전자가 그린 악보, 단백질이 연주하다단백질은 유전자의 명령에 충실한 일꾼일까?유전자는 곧 운명일까?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 그 이후 포스트 게놈 시대: 정적인 유전자에서 동적인 단백질로 단백질, 3차원의 마술사 2장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다단백질이 여는 100세 시대 노화는 운명일까, 치료 가능한 질병일까? 고장 난 단백질이 기억을 삭제하다 발냄새가 나는 병, 달콤한 냄새가 나는 병 정보 과부하 시대, 뇌의 급발진을 막아라 오래 살고 싶다면 근육을 지켜라 빈혈과 말라리아 사이의 관계 3장 음식에 담긴 단백질의 과학감칠맛에 숨겨진 비밀 사람을 홀리는 향기의 정체 설탕보다 200배 달콤한 슈퍼 감미료 식물의 생존 무기, 매운맛 고양이에게 생선 가게를 맡기면 안 되는 이유 저기압일 땐 고기 앞으로 암 유발 물질이 숙취 해소를? 미래 식량과 환경 문제의 해결사4장 사람을 살리는 약, 사람을 죽이는 약누구에겐 약 누구에겐 독, 호르몬의 양면성 모르는 게 약이 아니라 알아야 약이다 당뇨 치료제에서 다이어트 혁명까지 단백질을 알면 돈이 보인다 세상에서 가장 위험하고 아름다운 독 단백질 의약품을 주사로 맞는 이유 알비노, 축복일까 저주일까? 범인을 잡는 보라색5장 바이오 혁신과 생명의 미래실험실에서 만든 고기의 맛은 어떨까? 우주에서 전해준 생명의 기원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된 인공지능 생명 창조의 시대는 열릴 수 있을까? 우리 몸을 지키는 스마트 무기, 항체 아미노산이 알려주는 건강 정보 유전자 코드를 단백질로 번역하는 통역사들나가는 글: 단백질이 그리는 바이오 시대 감사의 글 이미지 출처